APCC 로고

apcc logo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기후센터(아태기후센터) 뉴스레터 2025, 9월호

작성자
manjae.ha
 
작성일
2025.08.20
조회
3
mainTitleBackGroundImg
Issue No. 09 |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기후센터 뉴스레터

APCC뉴스

APCC 설립 20주년 기념 ‘2025년도 APEC 기후심포지엄’ 개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기후센터(APCC)는 기상청, 부산시와 공동으로 2025년 8월 7일(목)부터 8일(금)까지 2일간 부산 벡스코 컨벤션홀에서 ‘2025 APEC 기후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APCC 설립 20주년을 기념하는 공식 행사와 연계해 열렸다.More...

title 1-1 img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기후센터(APCC) 20년사 발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기후센터(APCC)는 기관 설립 20주년을 맞이하여 지난 20년 동안의 APCC의 역할과 성과 등을 사서형태로 정리하여 대내적으로 기관의 현재 위치를 되돌아보며 정체성을 되새기고, 지난 연구 및 사업 활동 및 실적의 수록을 통해 기관의 대외적 위상을 제고하고자 APCC 20년사를 발간하였다. More...

title 1-1 img
APCC, 2025년도 부산 국제대기-빙권-해양물리 연합학회(BACO-2025)에서 연구·사업 성과홍보 전시부스 운영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기후센터(APCC)는 지난 2025년 7월 21일(월)부터 7월 24일(목)까지 4일간 부산 해운대 벡스코(BEXCO)에서 열린 2025년도 부산 국제대기-빙권-해양물리 연합학회(BACO-2025)에서 APCC의 연구·사업 성과홍보를 위한 전시부스를 운영하였다.More...

title 1-1 img



기후예측

동아시아 MME 계절전망 (2025년 9월 ~ 2026년 2월)
2025년 7월에는 적도 중앙태평양부터 북아메리카 해안에 이르는 지역에서 평년보다 다소 낮은 해수면온도가 계속 나타나고 북태평양의 높은 해수면 온도가 강하게 나타남. 적도 동인도양의 고온과 아라비아해의 저온이 강화되었음. 중국 북서부 일부, 중국 동부, 한반도, 일본과 연해주 일부 지역은 기온이 높았음. 중국 남동부 해안 및 북서부 지역은 강수가 평년보다 많았으며, 중국 중동부, 한반도 동부 및 일본 지역의 강수는 평년보다 적었음.
title 2-1 img
전지구 MME 계절전망 (2025년98월 ~ 2026년 2월)
APCC ENSO 경보는 “라니냐 주의(La Nina WATCH)”를 제시함. 다만 ENSO 확률 예측은 중립상태가 예측 기간 내내 우세함. 2025년 9월-11월 기간에는 열대 중앙 및 동태평양과 인도, 호주, 아프리카 열대 해안 지역을 제외한 전 지구 대부분 지역의 기온은 평년보다 높을 확률이 클 것으로 전망되며 2025년 12월-2026년 2월에도 캐나다를 제외한 대부분의 대륙지역 기온이 높을 확률이 큰 것으로 전망됨. 2025년 9월-11월에는 북극, 사헬, 인도, 인도네시아, 호주 북부와 남서태평양 지역의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을 확률이 다소 크고, 중앙아시아 적도 태평양, 적도 아프리카 해안 지역은 평년보다 적을 확률이 클 것으로 전망됨. 2025년 12월–2026년 2월에는 북극해, 북태평양의 강수가 평년보다 많을 경향이 전망되며, 열대 아프리카 동안, 아적도 중태평양 및 동아시아 일부의 강수가 적을 확률이 다소 높게 전망됨.
title 2-2 img



기후예측정보 및 서비스
기후예측정보 및 서비스 (Service)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기후센터는 전 세계 유수의 기후예측기관으로부터 기후정보를 받아 다중모델앙상블(MME: Multi-Model Ensemble)기법을 활용하여 분석 및 가공한 후, 신뢰도 높은 기후예측정보로 재생산하여 우리나라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동아시아 계절예측 전지구 계절예측 계절내진동예측 기후현황 데이터서비스 기후정보서비스 도구



언론에 나온 APCC
· 기후위기, 과학과 사회를 잇다…부산서 ‘2025 APEC 기후심포지엄’ 개최 (전기신문)
· APCC 설립 20주년 기념 ‘2025 APEC 기후심포지엄' 개최...기후변화의 복합성과 대응 방안 모색 (브레이크뉴스)
· [기후위기 속 농민] 막을 수 없는 이상기후, 예보 시스템 강화로 재해 대비(경남도민일보)
· 아태지역 예비 과학자들, 韓서 기후문제 해법 찾기 ‘열기’ (경남신문)
· 벡스코-센텀지구 ESG협의체, 삼계탕 나눔 사회공헌 활동 시행 (부산일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기후센터는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 50조 제8항 (수신동의 여부 확인 안내)에 따라 정보수신동의를 안내드립니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기후센터 뉴스레터 수신을 원치 않으실 경우, 수신거부 버튼을 눌러 주시길 바랍니다. 만약 수신 거부 이후에도 뉴스레터를 받아보시게 된다면
연락을 부탁드립니다.

"최적화된 기후예측 정보와 활용 기술을 제공하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기후 네트워크 허브.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기후센터"

FACEBOOK TWITTER FLICKR YOUTUBE


APC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