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크숍
- 작성자
- Admin
- 작성일
- 2020.07.27
- 조회
- 260
APEC기후센터와 대만기상청(CWB, Central Weather Bureau)은 협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2016년 MOU를 체결하고 공동 워크숍을 개최하였습니다. 양 기관은 기후변화가 보건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응하기 위한 기후정보 서비스 강화를 주제로 3일간 대만기상청에서 워크숍을 개최하였습니다. 기후와 보건분야 전문가 30여명이 참여하여 연구결과를 공유하고 보건분야 연구진이 질병의 전파성 또는 잠복기를 알아내기 위해 연구에 필요한 기후정보의 종류 등에 대해서 논의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보건분야에서 기후정보를 적절히 사용하기 위한 방안을 토론하였습니다.
I 개요
· 행사명 APCC-대만기상청 기후정보서비스 및 보건 워크숍
· 일 자 2016. 10. 12.(수) - 14(금)
· 장 소 대만기상청 국제 컨퍼런스홀
· 참석자 기후변화, 기후과학 및 보건분야 전문가 및 연구자, 대학관계자 등 30여명
I 프로그램
[개회식]
개회사 Tzay-Chyn Shin 대만기상청장, 정홍상 APEC기후센터소장
축 사 Ho Chen Tan 대만 교통부(Ministry of Transportation) 장관
[Opening 세션]
기조발표 '지구세'*의 도시보건 Urban Health in the Anthropocene Era (Prof. Indira Nath, Head, Department of Biotechnology, 인도 국립과학아카데미)
* 지구세 (Anthropocene Era) : 인류로 인한 지구온난화 및 생태계 침범을 특징으로 하는 현재의 지질학적 시기
[세션 1] 기후서비스와 전염병 관리 (Climate Service and Infectious Diseases Management)
기조발표 기후변화와 인간 감염병: 실천증거 Climate Change and Human Infectious Disease: Evidence to Practice (Prof. Huey-Jen Su, 대만 국립성공대학 총장)
발표 1-1 한국에서의 기후변화와 뎅기열 Climate Change and Dengue Fever in Korea (정해관 교수,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기초의학대학원)
발표 1-2 동아시아에서의 수족구 전염의 기상학적, 지리학적 요인 Effective of Meteorological and Geographical Factors on the Epidemics of Hand, Foot, and Mouth Disease in East Asia (Dr. Ta-Chien Chan, 대만중앙연구원)
발표 1-3 뎅기 발생 예측을 위한 기후정보의 사용 Use of Climate Data for Prediction of Dengue Outbreaks (Dr. Grace Yap, 싱가포르 국립환경원)
발표 1-4 싱가포르에서의 기후변화에 따른 보건 영향 연구 Studies of Health Impact due to Climate Change in Singapore (Dr. Stefan Ma, 싱가포르 보건부, 공중보건부)
발표 1-5 대만에서의 전염병 관리를 위한 기후정보서비스 활용 경험 Experience of Using Climate Services in the Management of Infectious Diseases in Chinese Taipei (Dr. Yu-Lun Liu, 대만 질병관리본부)
발표 1-6 기후변화와 해산물 안전 Climate Change and Seafood Safety (Dr. Hsin-I Hsiao, 국립 대만해양대학교)
발표 1-7 솔로몬제도 말라리아 감시 및 통제를 위한 기후정보 활용 Using Climate Information to Assist Malaria Monitoring and Control in Solomon Islands (Mr. Lloyd Tahani, 솔로몬아일랜드 기상청장)
[세션 2] 대만에서의 보건정보 및 기후서비스 (Health Data and Climate Services in Chinese Taipei)
발표 2-1 보건정보의 2차 활용 - 대만의 경험 Secondary Use of Health Data - Taiwan's Experiences (Dr. Min-Huei Hsu, 대만 보건복지부)
발표 2-2 대만기상청의 기후정보서비스 소개 Introduction to CWB Capabilities on Climate Service (Mr. Chia-Ping Cheng, 대만기상청)
[세션 3] 기후변화 적응과 보건 커뮤니케이션 및 취약 개체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Health Communications and Vulnerable Populations)
발표 3-1 아시아 도시에서의 도시설계, 도시열섬, 날씨와 사망자 수 Urban Design, Urban Heat Islands, Weather, and Mortality in Asian Cities (Dr. William Goggins, 홍콩 중문대학교)
발표 3-2 조기경보시스템 개발을 위한 한국에서의 폭염 예측성 평가 Assessing the Predictability of Heat Wave in Korea for Early Warning System Development (김형진 박사, APEC기후센터 응용사업본부장)
발표 3-3 새롭게 떠오르는 매개감염병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New Emerging Vector-borne Infectious Disease (Dr. Kun-Hsien Tsai, 국립대만대학교 공중보건대학)
[세션 4] 기후정보서비스와 비전염성 질병 관리 (Climate Service and Non-Communicable Disease Management)
기조발표 폭염 경보시스템의 보건적 영향 평가 Evaluating Health Benefits of the Heat Warning System (김호 교수,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장)
발표 4-1 폭염관련 사상자수: 기후변화의 영향 및 적응 Heat-realated Mortality: Impact of Climate Change and Adaptation (Prof. Yasushi Honda, 일본 쯔쿠바대학교)
[포스터 세션]
포스터 1 아열대 주요도시의 주변 균질 포자 농도에 관련된 기상학적 요인: 타이페이 시 Meteorological Factors for Ambient Fungal Spore Concentrations in a Subtropical Metropolis: Taipei City (Prof. Y. Leon Guo, 대만 국립환경보건과학연구소)
포스터 2 폭염 취약계층 평가와 관련된 보건분야 기후정보서비스 이해 Identifying Climate Service for Health with Heat Vulnerability Assessment (Dr. Shih-Chun Candice Lung, 대만중앙연구원)
포스터 3 극한 온도 보건 경보 시스템을 위한 선행 연구 Pilot Study for Extreme Temperature Health Warning System (Dr. Yu-Chun Wang, 대만 중원대학교)
포스터 4 공기 알레르기 물질 및 알레르기성 호흡기 질병에 대한 기후변화 적응 Adaptation to Impact of Climate Change on Aeroallergens and Allegic Respiratory Disease (Dr. Pei-Chih Wu, 대만 창중 크리스찬 대학교)
포스터 5 대만에서의 심혈관 건강 및 기후 Cardiovascular Health and Climate in Chinese Taipei (Prof. Fung-Chang Sung, 대만 중국의약대학교 공중보건부)
[라운드테이블 토론 및 종합정리]
Round-table Discussion and Summary Report
Next Step Discussion
[기관방문]
방문기관 1 대만 보건복지부 질병관리센터(Center for Disease Contro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방문기관 2 대만 중앙연구원 지속가능센터(Center for Sustainability Science/Academia Sinica)
I 프로그램 안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