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크숍
- 작성자
- Admin
- 작성일
- 2020.07.27
- 조회
- 243
I 2016년 APEC기후센터 APEC Research and Technology(ART) 워크숍
APEC기후센터는 지난 6월 6일(월)부터 10(금)일까지 5일 간, "SDGs 대응을 위한 기후변화적응과 이노베이션 플랫폼"을 주제로 「APEC Research and Technology(ART) 워크숍」을 개최하였습니다. 이 워크숍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의 증가, 농업작물변화와 같은 국제적인 도전에 직면한 APEC 회원국의 '기후변화 적응'을 통한 지속적인 글로벌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역내 협력을 강화하고 과학기술정책시장에서의 합의점을 도출을 위한 논의가 진행되었습니다.
I 기간 및 장소
2016년 6월 6일(월) - 10일(금) / APEC기후센터 및 부산 센텀호텔
I 프로그램
[개회식]
개회사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이명진 박사
환영사 APEC기후센터 정홍상 소장
축 사 광주과학기술원 최희철 소장
기조연설 지속가능발전목표, 과학기술혁신과 기후변화 (Kilaparti Ramakrishna UNESCAP 동북아사무소장)
특별발표 한국의 기후기술 정책방향 (미래창조과학부 최윤억 팀장)
[세션1] 지속가능발전목표의 현황 및 전망 (좌장 : STEPI 이명진 박사)
발표 1 APEC의 지속가능발전목표와 기후변화적응 : 혁신플랫폼 활용 (STEPI 글로벌정책연구센터 이우성 센터장)
발표 2 과학기술정책과 지속가능발전목표 : 태국사례 (태국 과기부 Pasupha Chinvarasopak 정책계획분석가)
발표 3 경제발전을 위한 지속가능발전목표의 혁신플랫폼 사례분석 (강원대학교/몽골국제대학교 권호열 교수)
발표 4 지속가능발전목표기반 다양한 통섭 (가나안농군학교 김장생 교수)
[세션2] 지속가능발전목표와 기후변화적응 (좌장 : APCC 김형진 응용사업본부)
발표 1 도전과제가 무엇인가? (한국기후변화학회 권원태 학회장)
발표 2 호주의 혁신어젠다 : 적응 및 발전 도모 (호주 환경부 Aaron Kirby 선임정책담당관)
발표 3 지속가능발전목표를 달성을 위한 기후변화적응 (유엔환경계획(UNEP) 이윤애 박사)
발표 4 최근 국제협상결과에서의 적응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가기후변화센터 강주영 박사)
[세션3] 지속가능발전목표와 기후변화적응을 위한 혁신플랫폼의 역할 (광주과학기술원 최희철 소장)
발표 1 혁신을 위한 협력 : 지속가능발전목표를 위한 개방혁신 (UNESCAP JonathanTsuen Yip Wong 담당관)
발표 2 파푸아뉴기니의 혁신플랫폼 관련 경험 (파푸아뉴기니 과학기술사무국 Benjamin Michael 담당관)
발표 3 청정개발매커니즘하의 가전산업의 저탄소기술이전 (LG그룹 박용진 부장)
[세션4] 기후변화로 인한 식수 공급문제 해결을 위한 전략 (광주과학기술원 최희철 소장)
발표 1 개발을 위한 디지털 어젠다 (페루 대외관계커뮤니케이션부 Mariana Caballero 팀장)
발표 2 개발도상국을 위한 지속가능한 수자원 적정기술개발과 활용 (그린엔테크 박순호 박사)
발표 3 한국수자원공사의 스마트 식수관리 (한국수자원공사 김형숙 차장)
[세션5] 지속가능한 도시의 환경 개선 (광주과학기술원 Ken Widmer 박사)
발표 1 베트남사례 : 기업을 위한 기술혁신정책 (베트남 과기부 Vu Van Hong 국장)
발표 2 초미세먼지 감축기술개발 (광주과학기술원 박기홍 교수)
발표 3 지구온난화와 도심에 끼치는 영향 (광주과학기술원 윤진호 교수)
발표 4 한국-UNDP 수질분석교육 : 성과 및 한계점 (광주과학기술원 Ken Widmer 박사)
[세션6] 도시인구의 전력수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친환경 에너지기술의 잠재성 (세기환경 양기해 박사)
발표 1 중국사례 : 천연가스 산업 분석 (중국 과기부 Li Yangyang 프로그램 담당관)
발표 2 인도네시아사례 : 국제 및 지역이익 합의점으로서의 재생에너지-도시에너지, 마을빈곤완화, 탄소배출감소를 위한 녹색에너지기술개발 (인도네시아 Wati Hermawati 연구원)
발표 3 에너지 환경기술 - 공기정화기를 활용한 태양에너지 산업 (세기환경 양기해 박사)
[세션7] 기후과학과 정책의 연계 (APCC 전종안 박사)
발표 1 캐나다의 과학기술혁신 현황 (캐나다 Andrew Thistle 정책분석관)
발표 2 필리핀사례 : 기후변화 필리핀 보고서를 위한 과학기술혁신 메커니즘 (필리핀 과기부 Sancho Alvarado Mabborang 지역국장)
발표 3 다중스케일 작물모델링을 활용한 서남아시아의 기후변화 적응전략 (APCC 전종안 박사)
발표 4 기후변화와 농업의 미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재배생리과 서명철 연구관)
[세션8] 재난관리를 위한 기후과학 I (APCC 명복순 박사)
발표 1 대만사례 : 태풍예측모델의 성능 (APEC태풍사회연구센터 Li-Huan Hsu 박사)
발표 2 미국사례 : 기후리스크감소를 위한 데이터기반 정책 (미국무부 Christine Andres 에너지기후담당관)
발표 3 극한가뭄과 산불위험평가의 매커니즘 (APCC 명복순 박사)
발표 4 기후변화 하의 미래 극한홍수 방지 (경상대학교 이태삼 교수)
[세션9] 재난관리룰 위한 기후과학 II (APCC 김대하 박사)
발표 1 말레이시아 사례 : 지표공기온도 모델링 (말레이시아 과기부 Fariza Yunus 박사)
발표 2 멕시코 사례 : 과학기술정책 (멕시코 과학기술위원회 Mariel Frias Meza 프로젝트담당관)
발표 3 원격센싱기술 활용 APCC 실시간 도시침수 예측시스템 (APCC 이승수 박사)
발표 4 재난위험감소를 위한 역량강화 : 경험과 지식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정태성 박사)
[토론 및 정리 (광주과학기술원 노영민 박사)]
발표 1 지역적 목표 달성을 위한 플랫폼 (서울대학교 민동필 과학기술협력대사)
발표 2 러시아 사례 : 러시아의 발전 (러시아경제발전부 Maxim A. Romanov 팀장)
발표 3 지속가능발전목표 내 농업과 기후변화 (농촌경제연구원 김창길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