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크숍
- 작성자
- Admin
- 작성일
- 2015.12.21
- 조회
- 671
I 2012년 수자원분야 기후정보 활용 국제학술회의 (ICCWP 2012)
APEC기후센터는 기후정보 공급자와 수자원 분야 수요자간 의사소통의 장을 마련함으로써 수자원 분야 기후정보 활용 극대화 방안을 모색하고 기후변화로 인한 잠재적인 사회·경제적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2012년 수자원분야 기후정보 활용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하였습니다.
I 개요
· 행사명 2012년 수자원분야 기후정보 활용 국제학술회의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limate, Water and Policy (ICCWP) 2012
· 일 자 2012. 9. 11.(화) - 13.(목)
· 장 소 APEC기후센터
· 참석자 국내외 기후정보 제공자, 수자원 전문가, 정책입안자 등 22개국 144명
I 프로그램
2012.9.11.(화)
09:00 - 09:25
[개회식]
개회사 정진승 APEC기후센터 소장
축사 Kenneth C. Crawford 대한민국 기상청 차장
축사 Neil Plummer 호주 기상청 기후정보서비스국 과장
09:25 - 10:45
[기조연설]
기조연설 1 수자원 관리자기 기후예측을 적용하는 방법 Water Managers Adopting Climate Forecast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Neil Plummer, 호주기상청 기후정보서비스국 과장)
기조연설 2 기후기반 불확실성 및 의사 결정 Climate-based Uncertainties and Decision Making: Probability and Beyond (George Kuczera, 호주 뉴캐슬대학교 교수)
11:05 - 17:40
[세션 1] 계절예측을 이용한 수자원 예측과 수자원 관리 & 기후, 계절 및 단기 유량 예측의 정확도 및 신뢰성 평가
- Application of Seasonal Climate Forecasting to Hydrologic Forecasting and Water Resources Management
- Assessment of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Climate, Seasonal and Short-term Streamflow Forecasts at Hydrologic Scales
발표 1-1 수자원 예측 및 수자원관리에의 계절 예측 적용 Application of Seasonal Climate Forecasting to Hydrologic Forecasting and Water Resources Management (Narendra Kumar Tuteja, 호주 기상청)
발표 1-2 미국 기상청의 장단기 수자원 확률 예측 Probabilistic Hydrologic Forecasting with Short to Long Lead-time at the U.S. National Weather Service (Geoffrey M. Bonnin, 미국해양대기관리처)발표 1-3 한국 수자원 관리에 계절예측 활용 : 한계점과 미래 Use of Seasonal Climate Forecasts for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Korea: Limitations and Future (김영오 교수, 서울대학교)
발표 1-4 미국 기후예측센터(CPC)의 이상기후 및 수자원 연구 Research on Extreme Events and Water Resources at the Climate Prediction Center (Kingtse Mo, 미국해양대기관리처)
발표 1-5 계절 유량 예측을 위한 전지구기후모델(GCM) 결과물 활용방안 Making the Best Use of GCM Outputs for Seasonal Streamflow Forecasting (Q J Wang, 호주 연방과학산업연구기관)
발표 1-6 기후예측정보를 이용한 유량 예측 사례 분석 Case Studies of Streamflow Forecasting Using Climate Forecasting and Information (권현한, 전북대학교)
발표 1-7 기후예측정보를 이용한 유량 예측 사례 분석 Impact of Model Implementation and Numeric on the Reliability of Hydrological Predictions (Dimitri Kavetski, 호주 아델라이드대학교)
발표 1-8 낙동강 유역 수자원 및 수환경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 Hydrological and Water Environmental Effects on Future Climate Change for Nakkdong River Basin in South Korea (신현석, 부산대학교)
발표 1-9 단기 유량 예측을 위한 AWS 관측 자료 활용 평가 Evaluation on the AWS Observed Data Applications for Short-range Streamflow Forecasting (이병주, 기상청)
발표 1-10 한국-일본 대상 기후 연구 활용 조사 Exploring Climate Research Applications over Korea-Japan Peninsula (R. H. Kripalani, 인도 열대기상연구원)
발표 1-11 극한 가뭄 및 홍수의 다중모델 기반 계절 예측 시스템 개발 : 한국 사례 연구 Development of a Multimodel-based Seasonal Prediction System for Extreme Droughts and Floods: A Case Study for South Korea (손수진, APEC기후센터)
2012.9.12.(수)
09:00 - 18:00
[세션 2] 장기 기후 변동성 및 변화와 수자원 관리
Long Term Climate Variability and Change and Water Resource Management
발표 2-1 한반도 수자원 기후변화 연구 Climate Change Studies on Water Resources in Korea (배덕효, 세종대학교)
발표 2-2 유역단위에서의 생태계 과정 Ecosystem Processes at the Watershed Scale: Climate Change, Ecosystem Feedbacks and Implications for Water Resources (Lawrence Band, 미국 북캐롤라이나 대학교)
발표 2-3 Kakushin 프로그램에서 일본 자연 재난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 분석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on Natural Disaster in Japan under the Kakushin Program (Eiichi Nakakita, 일본 교토대학교)
발표 2-4 IPCC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한국 주요 다목적댐의 물수지 예측 Water Budget Projection at the Major Korean Multipurpose Dams based on IPCC Climate Change Scenario (강부식, 단국대학교)
발표 2-5 기후변동성 및 기후변화가 물에 미치는 영향 Climate Variability and Climate Change Impact on Water (Francis Chiew, 호주 연방과학산업연구기관)
발표 2-6 기후변동성 및 기후변화가 물에 미치는 영향 Decadal Hydrologic Forecasting - How Visible Is It? (Rajeshwar Mehrotra, 호주 New South Wales 대학교)
발표 2-7 유역 수문학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 평가를 위한 격자기반 모델링 A Grid-based Modeling for Assessing Climate Change Impact on Watershed Hydrology (김성준, 건국대학교)
발표 2-8 AGCM60K의 현재 및 미래 강수 아웃풋에 대한 시스템 오류 산정 Estimating the Systematic Bias in the Present and Future Precipitation Output of AGCM60K (김선민, 일본 교토대학교)
발표 2-9 다중지수 다중변수 가뭄 감시 체계 A Multi-index Multivariate Drought Monitoring Framework: Application to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Amir AghaKouchak, 미국 캘리포니아 학교 어바인 캠퍼스)
발표 2-10 아태지역 극한일강우 변화에 대한 통계 평가 Statistical Assessment of Changes in Daily Precipitation Extremes in the Asia-Pacific Region (김옥연, APEC기후센터)
발표 2-11 지역기후모의에서 지구 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극한 수문기상현상의 잠재적 증가 Potential Increase of Hydroclimatic Extremes in Korea due to Global Warming from a Regional Climate Simulation (임은순, 싱가포르 환경감시모델링센터)
발표 2-12 분산수문모델링의 NEXRAD 강우 정확도 개선을 위한 균일 및 불균일 오차 보정 효과 The Effect of Uniform and Non-uniform Bias Correction Methods on Improving NEXRAD Rainfall Accuracy for Distributed Hydrologic Modeling (강광민, APEC기후센터)
2012.9.13.(목)
09:00 - 11:50
[세션 3] 기후학자, 수자원관리자, 정책결정자 간 효과적인 의사소통 채널 및 도구 개발
Developing Effective Communication Channels and Toolkits among Climate Scientists, Water Resource Managers and Policy Makers
발표 3-1 가뭄에 대한 적극적 대처 Being Proactive about Drought: Long-term Risks and Early Warnings (Roger Pulwarty, 미국해양대기관리청)
발표 3-2 가뭄 정보 서비스 Drought Information Services: Bridging the Science/Policy Interface (Mark Svoboda, 미국 국립가뭄완화센터)
발표 3-3 기후학자, 수자원관리자, 정책결정자 간 효과적인 의사소통 채널 및 도구 개발 Developing Effective Communication Channels and Toolkits among Climate Scientists, Water Resource Managers and Policy Makers (Mike Harrison, 영국 Climate-Insight)
발표 3-4 기후변화의 수문학적 영향에 대한 견고한 예측을 향하여 Towards Robust Predictions of the Hydrolog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The Bayesian Total Error Approach (Mark Thyer, 호주 아델라이드대학교)
발표 3-5 전지구 기후 변동에서의 수자원 관리 Managing Water Resources under Global Climate Variability: Responses of Water Resource Managers and Policymakers in Nigeria (Andrew Onwuemele, 나이지리아 사회경제연구소)
12:50 - 15:50
[세션 4] 국제 협력과 정책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Policy
발표 4-1 위성자료과 기존자료를 연계한 상수원관리의 정책 결정 Making an Informed Decision on Freshwater Resource Management by Integrating Remote Sensing Data with Traditional Data (Jason Hyon, 미국항공우주국 제트추진연구소)
발표 4-2 호주 수자원 혁신 경험을 바탕으로 한 기후적응정책 Lessons for Climate Adaptation Policy from Water Reform Experience in Australia (Tony Slatyer, 호주 지속가능환경물인구커뮤니케이션부)
발표 4-3 국경 지대 유역에서의 적응 문제 Adaptation Challenges in International (and Transboundary) River Basins (Roger Pulwarty, 미국해양대기관리청)
발표 4-4 2011년 태국 대홍수 Thailand Great Flood 2011: Looking Back and Looking Forward (Seree Supratid, 태국 수자원관리전략위원회)
발표 4-5 인도네시아 식량안보 프로그램 지원을 위한 수자원 가용량 관련 기후정보 서비스 향상 Strengthening of Climate Information Services Concerning Water Availability to Support Food Security Program in Indonesia (Nelly Florida, 인도네시아 기상청)
발표 4-6 기후변화적응과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다중심주의 접근법 A Polycentric Approach to Deal with Uncertainty and Climate Change Adaptation - A Case Study of Transboundary Water Governance in Volta River Basin in West Africa (Sam Wong, 영국 리버풀대학교)
15:50 - 17:00
세션 요약
I 자료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