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공지
- 작성자
- Admin
- 작성일
- 2018.06.07
- 조회
- 698
APEC기후센터와 기상청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는 양 기관의 방대한 기상· 기후 자료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 운영하는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을 통해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대용량 정보자료 전송기술인 사이언스 DMZ(Science DMZ) 서비스 환경을 국내 최초로 구축·개시하였다.
DMZ (Demilitarized Zone)는 컴퓨터 보안 용어로 ‘완충지’라 하며 내부 네트워크와 외부 네트워크 사이에 위치한 서브넷(네트워크의 일부를 구성하는 망)을 의미한다. DMZ에 있는 호스트(인터넷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다른 인터넷 호스트와 통신할 수 있는 컴퓨터)들이 외부 네트워크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반면에 외부에서는 DMZ내의 호스트를 통해 내부 네트워크로 접속할 수 없다. 따라서 외부에서의 내부 네트워크에 대한 침입으로부터 DMZ내 호스트들은 내부 네트워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보통의 학교, 기업, 또는 연구기관에서는 전산망 보안을 위해 방화벽(Firewall)을 설치한다. 방화벽은 이것을 통과하는 *송신정보(패킷 : 입력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블록으로 분할한 것)“들을 실시간 검색해 해당기관에서 사용하는 보안규칙을 적용함으로써 전산망의 보안을 유지한다. 그러나 여러 겹으로 설치된 방화벽을 지나는 동안, 소량의 송신정보(패킷)가 손실됨과 동시에 정보의 전송속도는 급격히 떨어지는 병목현상이 일어난다. 따라서 대량의 정보(자료)를 다뤄야 하는 연구기관과 학교에서는 정보(자료)교환이 원활하지 않아 타 기관 또는 학교와의 공동연구·작업에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계의 각 연구기관·대학들은 기존의 방화벽을 우회하여 *라우터 자체의 *ACL 기술을 통해 정보의 전송속도를 높이고, 동시에 전상망의 보안성도 유지 할 수 있게 하는 사이언스 DMZ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특히 천체물리학, 기후과학 등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생성·활용해야만 하는 분야에서 사이언스 DMZ는 기관들 간의 공동연구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전산망 설계 중의 하나가 되었다.
현재 기상청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는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을 통해 기상관련 자료에 대한 각종 계산 및 연산을 수행하고 방대한 양의 기후정보를 APEC기후센터에 제공하고 있다.
APEC기후센터는 기상청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가 전송한 방대한 기후정보 및 자료들을 실시간 장기예보에 활용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기후자료들은 APEC기후센터가 새롭게 개발한 장기기후예측모델인 스콥스(SCoPS) 모델에 공급돼 활용됨으로써 신뢰도 높은 기후예측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차원에서 APEC기후센터와 기상청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는 대용량 장기기후 예보자료의 초고속 전송이 가능하도록 국내에서 최초로 양 기관 간에 사이언스 DMZ 서비스 환경을 구축하였다.
양 기관은 국내최초로 구축된 사이언스 DMZ 서비스 환경을 통해 기존 대비 100배 향상 된 우수한 정보전송 속도(1GB 네트워크망의 약 95% 이상의 효율)를 가지고 매일 수 TB(테라바이트: 1TB는 1024GB에 해당)급 이상의 정보(자료)를 안정적으로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양 기관 간에 연결된 사이언스 DMZ 서비스 환경은 국가정보원의 보안성 검토를 받아 정보보안에 관한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APEC기후센터 예측운영팀의 최재원 연구원은 “국내에서 최초로 사이언스 DMZ 서비스 환경을 구축하게 됨으로써 국내뿐 만 아니라 동남아 지역의 기후 예측과 향후 미국 등 다른 해외국가들과의 기후모델 개발 및 기후정보 서비스 제공 등의 연구협력 강화에 필요한 발판을 마련할 수 있게 되었다.”라고 말했다.
*라우터 :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중계해주는 장치. 보내지는 송신정보(패킷)에서 수신처 주소를 읽어 가장 적절한 통신통로를 지정하고, 다른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장치
*ACL ( Access Control List) 기술 : 라우터에서 정책을 설정하여 통신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술
* 모델(기후모델) : 기후의 시간변화를 물리법칙으로 컴퓨터에 입력하여 기후를 예측하는 방법
* 스콥스(Scops) 모델 : APEC기후센터가 개발한 장기기후예측 모델의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