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CC 로고

apcc logo

[기고] 사회 취약계층에 더 힘든 폭염

작성자
Admin
 
작성일
2022.08.16
조회
382

최근 폭염과 호우가 동시 혹은 교대로 오는 복합재난 형태의 이상기후 현상이 잦아지고, 높은 습도의 영향으로 더위체감온도가 상승해 폭염의 강도가 세어지고 있다. APEC기후센터의 1981~2018년 동안의 폭염 분석 결과에 따르면, 사람이 느끼는 더위체감 온도의 강도가 2010년을 기점으로 기온 상승에 비해 훨씬 강해지고 있다.

 

보통 더위체감온도는 온도·습도에 좌우된다. 사람의 더위체감온도는 55%의 상대습도(기상청 산출식 기준, 이하 습도)에서 기온과 같다. 33도의 기온에서 습도가 25%일 때 더위체감온도는 29.5도이지만 습도가 80%까지 오르면 35.2도가 된다.

 

기상청에 의하면 2022년 7월 상순은 1973년 관측 이래 전국평균 기온이 27.1도를 기록해 가장 더운 7월 상순이었고, 7월 중순 이후에는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비가 왔다. 8월 초에는 서울을 비롯한 중부지방에 600mm가 넘는 폭우가 내렸다. 반면에 부산 등 남부지방은 습식 사우나처럼 찜통더위가 맹위를 떨쳤다. 또한, 2020년 여름에도 폭염과 장마가 교대로 찾아와 큰 피해를 남긴 적이 있다.

 

한편 폭염으로 가장 큰 피해를 보는 계층은 저소득층이다. 한국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저소득층의 온열질환 발병률이 고소득층(건강보험료 상위 20%)의 온열질환 발병률에 비해 약 3배가 높다. 고령자·아동, 비닐하우스의 이주노동자와 배달·건설업 종사 야외노동자 등이 폭염에 취약하다.

 

그러면 더위와 강수가 동시 혹은 교대로 오는 새로운 양상의 폭염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첫째, 체감도 높은 폭염정보 제공으로 저소득·폭염민감 계층을 잘 돌볼 수 있는 정부·사회의 폭염피해 예방대책이 수립·이행될 필요가 있다.

 

2021년 부산지방기상청은 지역노동자 실태조사 및 노동권익업무의 수행에 필요한 폭염영향 정보 등 기상정보 및 기후자료를 부산노동권익센터에 업무협약을 체결해 제공하고 있다. 또한, 안전보건공단과 기상청은 배달과 택배 등 플랫폼종사자들이 위험기상 상황을 사전에 인지·대비하도록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기상청에서 기상정보를 받아 재생하는 '위험기상정보 영상'을 제작·송출하고 있다.

 

폭염, 집중호우, 태풍 등 위험기상 발생 때 지역 노동자의 안전한 근무환경 조성을 위한 이런 노력은 더욱 확대돼야 한다. 이런 노력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기상·기후예측 정보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국가·사회의 관심과 투자가 선행돼야 한다.

 

둘째, 최근의 새로운 폭염 발생 경향에 맞춰 폭염민감 계층에 실질적 도움을 주는 폭염 피해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폭염 민감계층에 관한 조사 보고서(2020년)에 의하면 "수면 공간 온도를 견디기 어렵다"는 응답 비율이 저소득층에서는 52.8%로 일반 집단(44.2%)에 비해 높았다. "일상생활 공간 온도를 견디기 어렵다"는 응답 비율도 저소득층(49.1%)이 일반 집단(35.2%)보다 10%포인트 이상 높았다.

 

높은 습도를 동반하는 새로운 양상의 폭염으로 저소득·폭염민감 계층의 거주공간 내 더위체감 온도가 더 상승해 이들에 대한 냉방용품의 사회적 지원 강화가 더욱 절실하다. 많은 저소득·폭염민감 계층들은 직장·집에서의 선풍기 이용과 전기세 지불이 어려워 먼 거리의 노인정 혹은 무더위 쉼터와 같은 공공시설을 이용한다.

 

이들 계층에 대한 냉방용품 기부·보급 운동을 더 활성화하고, 집에서 냉방용품을 설치·사용하도록 세심한 국가·사회적 배려책이 필요하다. 또한, 무더위 쉼터의 설치를 늘리고, 기존의 무더위 쉼터의 위치도 택배·건설노동자 등 폭염 민감계층이 쉽게 이용 가능한지도 점검해봐야 한다.

 

셋째, 장기적 관점에서 정부를 비롯한 모든 사회 구성원들이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지구온난화에 대한 심각성을 느끼고, 사회 전체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데 협력하고 참여해야 한다.

 

유엔의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6차 평가보고서도 폭염, 호우 등 극한 이상기후 현상을 줄이는 유일한 대안은 온실가스 감축이라고 한다. 정부 및 산업계 그리고 개인도 탄소배출을 줄이고자 하는 기후행동을 이제는 늦출 수가 없다. 우리 자신이 좀 불편해도 자연과 함께 살아가겠다는 마음가짐을 가지고 이제는 기후행동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